잇몸이 부었을 때 원인 통증 완화 해결 방법

2025-09-04

잇몸이 부었을 때 원인 통증 완화 해결 방법


잇몸 부어서 아프죠?


양치만 해도 피가 나고, 찬물만 마셔도 시리고, 밥 먹을 때마다 잇몸이 욱신거려서 힘들 거예요.

이럴 때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단 하나.

잇몸이 부었을 때 빨리 통증을 없앨 방법은 없을까?


급한 불부터 끄고 봐야겠죠.

지금 당장 잇몸 통증을 완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잇몸이 붓고 아픈 순간에는 먹는 약을 찾게 되는데요.

잇몸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는 소염진통제가 가장 빠른 대처 방법이에요.

잇몸이 아플 때 가장 흔히 먹는 약은 이부프로펜(ibuprofen)인데요.

이부프로펜 일러스트

이부프로펜은 잇몸 통증과 잇몸 염증을 일시적으로 완화해 줘요.

속 쓰림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이나 우유와 함께 복용하는 게 좋고, 반드시 라벨에 적힌 용법·용량(성인 기준 하루 최대 1,200mg, 즉 200mg 정제 6정 이내)을 지켜야 해요.

그리고 잇몸이 부었을 때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을 함께 쓰면 진통 완화 효과가 더 커질 수 있어요.

하지만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총량(보통 3,000mg 이하)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단, 고혈압이나 심장·신장 질환이 있는 분, 위궤양이나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분, 임신 20주 이후이거나 과거 소염진통제에 천식 반응이 있었던 분은 복용 전에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셔야 해요!

근데 왜 잇몸 통증이 다시 반복될까요?


진통제는 지금 당장의 통증만 줄여줄 뿐이에요.

왜 그럴까요?

잇몸이 붓는 이유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에요.

마치 불이 난 집에서 연기만 빼내고 불은 안 끄는 것과 같죠.

그렇다면 잇몸이 붓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잇몸이 붓는 원인은 세균 때문이에요.


"아니, 나는 양치질 열심히 하는데?"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하지만 아무리 꼼꼼히 닦아도 칫솔이 닿지 않는 곳이 있어요.

치아와 잇몸 사이, 치아와 치아 사이 같은 곳이죠.

이런 곳에 음식 찌꺼기가 남으면 세균들이 모여들어요.

이 세균들이 끈적끈적한 막을 만드는데, 이게 바로 치태(플라그)예요.

치태가 쌓인 치아
*치아 표면에 쌓인 치태

치태 속 세균들은 가만히 있지 않아요.

끊임없이 독소를 만들어내죠.

독소가 잇몸을 자극하면, 우리 몸은 곧바로 면역 반응으로 맞서 싸워요.

이 과정에서 염증이 생기고 잇몸이 빨갛게 부어요.

그러다 보면 잇몸이 욱신거리고, 양치만 해도 피가 나는 증상으로 이어지게 돼요.

염증으로 부은 잇몸
*염증으로 부은 잇몸(치은염)

그럼 치태는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까요?


치태는 다행히 올바른 칫솔질과 치과에서 스케일링을 받으면 쉽게 제거할 수 있어요.

특히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처럼 칫솔모가 잘 닿지 않는 부분은 일반 칫솔만으로는 한계가 있는데요.

이럴 때는 두줄모 칫솔이나 치간칫솔을 함께 사용하면 세균을 훨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요.

닥터미니쉬 두줄모 칫솔


만약 치태를 제거하지 않고 그냥 두면 어떻게 될까요?

치태를 방치하면 24~48시간만 지나도 단단한 치석으로 변해버려요.


치석이 무서운 이유는 치석 속 세균들이 계속 독소를 만들어서 잇몸을 자극하고 붓게 만들어요.

치석 쌓인 치아
*치석이 쌓인 치아, 잇몸과 잇몸뼈가 녹아내린 상태(치주염)

게다가 한 번 굳은 치석은 칫솔질로 절대 제거되지 않아요.

왜 칫솔질로는 치석 제거가 안 되는 걸까요?


이미 돌처럼 단단해졌기 때문이에요.

문제는 이 치석이 잇몸 속 깊이까지 내려간다는 거예요.

결국 염증이 잇몸뼈(치조골)로 번져 뼈를 녹이고, 치아가 흔들리다가 심하면 발치까지 이어져요.

잇몸이 붓는 이유가 꼭 치주질환 때문인가요?


갑자기 잇몸이 붓는 경우가 무조건 치주질환 때문은 아니에요.

충치가 깊어져 신경이 감염되면 치아 뿌리 끝에 염증이나 고름이 생기면서 잇몸이 붓고 씹을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어요.


치아 뿌리 염증
*치아 뿌리 염증으로 잇몸 고름 생긴 상태

겉으로 보면 단순 잇몸 문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치아 내부에서 생긴 염증일 수 있는 거죠.

또한 금이 간 치아나 예전에 신경치료를 받은 부위에서도 이런 뿌리 염증이 생길 수 있어요.

이때는 잇몸에 여드름처럼 작은 고름 주머니가 잡혔다가 터졌다가를 반복하기도 하는데요.

사실은 뿌리 끝에서 생긴 고름이 잇몸 밖으로 길을 내고 나온 상태랍니다.

이 상태를 방치하면 만성화되기 때문에 반드시 치과에서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해요!

야근이 많고 피곤해서 잇몸이 부은 건 아닐까요...


"잇몸 부음 피로 때문은 아닐까?"

피곤해서 잇몸이 붓는 경우도 있다고들 하죠?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피로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 이미 있던 잇몸 염증을 더 심하게 만드는 ‘악화 요인’이에요.

피곤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는데요.

그러면 평소 조용하던 입속 세균들이 갑자기 활발해져요.

쉽게 말하면:
세균 = 불씨 (근본 원인)
피로 = 기름 (악화 요인)

즉 세균이 있으면 피로가 불을 확 키워 잇몸을 붓게 만들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평소에 구강관리를 잘해서 충치와 치태, 치석이 없다면, 피곤해도 세균 때문에 잇몸이 붓는 일은 거의 없어요.

어금니 쪽 잇몸이 자줏 붓는 경우는 왜 그럴까요?


잇몸이 아플 때 꼭 특정 부위, 특히 어금니 쪽 잇몸 부음을 호소하는 분들이 계신데요.

어금니 쪽 잇몸 부음

이유는 아래와 같아요.

- 칫솔이 잘 닿지 않는 곳: 입 안 깊숙이 있어 청소가 어려워 치석이 쉽게 쌓여요.

- 숨겨진 사랑니: 삐뚤게 난 사랑니나 잇몸 일부에 덮인 사랑니가 자극과 염증을 반복해요.

- 낡은 보철물(인레이·크라운): 오래된 보철 틈새에 음식물이 끼면 세균이 번식해 염증이 생겨요.

어금니 쪽만 반복적으로 붓는다면 단순 피곤 때문이 아니라, 사랑니·치석·보철 문제 같은 원인이 숨어 있다는 신호예요.

꼭 치과에 가야 하나요? 잇몸약으로는 해결할 수 없나요?


“잇몸약을 먹으면 낫지 않을까?”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약은 보조 수단일 뿐 잇몸 깊숙이 쌓인 치석·세균·고름 같은 원인을 없애진 못해요.

그래서 약만 먹으면 다시 붓는 일이 반복되는 거예요.

그렇다면 잇몸부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치과에 오시면 정밀 검사를 통해 상태를 정확히 확인한 뒤,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치료가 진행돼요.

- 치석이 원인이라면 -> 스케일링 또는 치근활택술
- 염증 주머니가 생겼다면 -> 치석 제거 후 잇몸 레이저 치료, 경우에 따라 신경치료 필요
- 빠른 잇몸 회복이 필요하다면 -> PDRN 주사 치료
- 크라운 또는 인레이 보철 틈 문제라면 -> 보철 재치료
- 사랑니 문제라면 -> 발치

마지막으로 치료 후에는 건강한 구강 환경을 위해 치과에서 바른 칫솔질·구강 관리법 교육을 받아 꾸준히 실천하는 게 좋아요.

부은 잇몸,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잇몸부음은 참는다고 나아지지 않아요.

진통제로 오늘 하루를 버틸 수는 있지만 건강한 내일을 위해서는 반드시 치과에서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해요.

이살리는치과

지금 잇몸붓기로 불편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이살리는치과 예약 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세요!

이살리는치과 잇몸회복 구강스파 프로그램 > https://www.save-teeth.com/clinic/clinic01

■ 읽어보면 좋은 글

■ 참고문헌
1.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harmacologic management of acute dental pain in adolescents, adults, and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24). 링크: JADA 풀텍스트.
2. Chairside Guide (Adults): Pharmacologic Management of Acute Dental Pain.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24). 링크: PDF.Ada Developers Academy
3. About / How and when to take ibuprofen (Adults). NHS. 링크: 성인 이부프로펜 안내/복용법.
4. Who can and cannot take ibuprofen. NHS. 링크: 금기·주의·상호작용.
5. Extra Strength Acetaminophen – Drug Facts (label). DailyMed (미 FDA SPL). 링크: 3,000 mg/일 제품 라벨.
6.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Avoid NSAIDs at 20 weeks’ pregnancy or later. 링크.
7. Efficacy of Polydeoxyribonucleic Acid (PDRN) in periodontal regeneration: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outcomes. J Oral Biol Craniofac Res (2025). 링크: ScienceDirect.
8. Effect of polydeoxyribonucleotide with xenogeneic collagen matrix on gingival phenotype.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2024). 링크: JPIS.
9. PDRN blunts inflammation in oral mucositis model (gingival fibroblasts & oral epithelial cells). Oral Diseases (2021). 링크: ScienceDirect.